기본

공유기

초혼 2023. 5. 22. 23:39

라우터

논리적으로 분리된 망, 혹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망 사이를 지나가야 하는 패킷들에게 경로를 뽑아 자기가 아는 최상의 경로를 찾아낸 뒤 다른 망으로 패킷을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기계

상위 통신망과 하위 통신망 사이를 중계해주는 기계

 

 

게이트웨이

이 지점을 기준으로 다른 두개의 장소로 나뉘며, 이 지점에서 출입통제가 가능한 곳

 

 

AP(Access Point)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형 무선 단말기

 

 

인터넷 공유기

AP 기능이 있는 소용량 라우터

 

인터넷에 접속하려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할당받은 공인 IP가 필요하다.

모뎀에서 나오는 랜선이 하나 뿐이었으니 받을 수 있는 공인IP는 물론이고 접속할 수 있는 기기도 기본 하나뿐이다.

물리적으로 연결된 계층에서 사설 IP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통해 패킷을 같은 랜선을 공유하는 컴퓨터로 재전송해준다

 

 

포트 포워딩

공유기는 하나의 사설IP 주소를 가진다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여러 네트워크 통신 앱은 공유기의 사설IP 주소와 각자의 포트 번호를 할당 받는다.

→ 주소 변환 테이블로 관리

→ 할당 받는 시점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공유기에 도착했을 때

 

공유기를 통해 나가고 들어오는 요청과 응답을 주소 변환 테이블을 참고해서 주소 변환을 해줌

포트의 최대 개수가 65535개라서 한 공유기에 연결 가능한 클라이언트 수는 이론적으로 65535개이다.